👉절임배추 20kg, 도대체 몇 포기일까? (정확한 계산법)👈
김장 준비가 한창입니다. 1년 농사를 좌우할 맛있는 절임배추를 고르셨는데, '구매하기' 버튼 앞에서 딱 멈칫하게 됩니다.
"그래서... 절임배추 20kg 사면 도대체 배추 몇 포기(쪽)가 오는 걸까?"
이것 때문에 양념(김칫소)을 얼마나 준비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히셨죠? 제가 10년 차 주부의 노하우로 정확한 계산법과 **가장 중요한 꿀팁**까지 1분 만에 알려드릴게요!
1. 결론부터: 절임배추 20kg = 몇 포기?
시간 없는 분들을 위해 결론부터 말씀드립니다. 90% 이상의 판매처에서 사용하는 표준 규격입니다.
- 절임배추 20kg ➡️ 약 8포기 ~ 10포기 (반으로 쪼갠 쪽수로는 16~20쪽)
- (참고) 절임배추 10kg ➡️ 약 4포기 ~ 5포기 (반으로 쪼갠 쪽수로는 8~10쪽)
시중에서 판매하는 '절임배추 20kg 한 박스'는 **평균 8~10포기**의 배추가 들어간다고 보시면 정확합니다.
2. 왜 8포기? 10포기? 차이가 날까요?
이유는 간단합니다. 배추는 공장에서 찍어내는 공산품이 아니기 때문이죠!
농가에서 재배한 원물 배추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. 어떤 배추는 3.5kg이 넘는 '특대' 사이즈고, 어떤 배추는 2.5kg 정도의 '일반' 사이즈입니다.
- 배추 원물이 크면 (예: 3.5kg짜리) ➡️ 8포기만 담아도 20kg가 훌쩍 넘습니다.
- 배추 원물이 조금 작으면 (예: 2.5kg짜리) ➡️ 10포기를 담아야 20kg가 됩니다.
가장 중요한 점: 포기 수(8포기, 10포기)에 절대 집착하지 마세요! 김장 양념 계산은 포기 수가 아니라 '총 무게(kg)'로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3. 진짜 질문: 20kg 기준, '양념'은 얼마나?
사실 '몇 포기'인지 궁금했던 진짜 이유는 바로 이 '김칫소(양념)' 때문이죠?
김치 명인들이 말하는 양념의 '황금 비율'은 배추 무게 대비 약 30%입니다.
절임배추 20kg 기준 ➡️ 약 5.5kg ~ 6kg의 김칫소(양념)가 필요합니다.
만약 시판용 '김장 양념'을 구매하실 계획이라면, 10kg용 2개가 아니라 **'20kg 배추용 (양념 6kg)'**이라고 표기된 제품을 구매하셔야 양념이 부족하지 않고 딱 맞습니다!
👉 [함께 보면 좋은 글] 20kg 양념 황금비율, 명인 비법으로 직접 만들기